아르투어 쇼펜하우어(Arthur Schopenhauer) (1788~1860)

독일의 철학자. 염세주의 철학자의 대표주자로 불림.
그의 철학은 칸트(1724~1804, 독일의 철학자)의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칸트의 모든 것을 수용하지는 않았음.  
당대 인기 철학자이던 헤겔(1770~1831)과 철학대결[?]을 펼쳤으나 패배함.
생전의 대부분을 빛을 보지 못하고  살았으나 그의 대표작인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가 출간되었을 때부터 그가 사망한 72세까지 약 9년정도 국제정 명성을 떨쳤음.

아버지는 잘나가는 사업가, 어머니는 잘나가는 낭만주의 작가였으며 아버지는 사업을 물려받기를 원했으나 쇼펜하우어는 이를 거부하고 상속받은 유산으로 생활문제를 모두 해결하고 평생 자기가 하고 싶은 철학 공부와 저술활동에 전념함. 어머니의 방탕한 생활로 인해 여성혐오의 싹이 텄으며 여동생이 있었는데 여동생과의 관계는 어땠는지는 모르겠음 

쇼펜하우어는 최초로 자신이 무신론자임을 당당히 밝힌 철학가이며 (신의 존재를 믿지 않은 철학가는 그 이전에도 있었으나 사회적 분위기로 인하여 당당하게 밝히지는 못했다고 함) 인간에 대한 뛰어난 통찰력을 가졌던 사람임. 때문에 그는 철학가로서도 대성하였을 뿐 아니라 문학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음. 러시아의 소설가 톨스토이, 투르게네프, 프랑스의 작가 프루스트, 졸라, 독일의 토마스만, 영국 소설과 하디와 콘래드 등 많은 작가들이 쇼펜하우어를 읽었기 때문에 자기 작품에 깊이가 생겼다고 말하고 있음. 가장 많이 언급되는 철학자인 니체(1844~1900, 독일의 철학자 - 이걸로 보면 대면하는 스승 제자 사이는 아니었겠군)는 쇼펜하우어를 읽고 나서 철학자가 되기로 결심했다고 함. 또한 심리학의 대가 프로이트는 심리분석의 기초라고 할 수 있는 억압 메커니즘이 자기보다 먼저 쇼펜하우어에 의해 상세히 설명되었다고 인정함.

쇼펜하우어는 예술을 매우 중시하였음. 어두운 지하 감방같은 이 세계에서 해방되는 방법이 예술이라고 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음악이 경험세계의 외부에 있는 다른차원의 존재를 접할 수 있게 한다고 하였음(근데 쇼펜하우어가 소녀시대의 Gee를 들으면 뭐라고 할 지 궁금함). 작곡자 바그너는 쇼펜하우어의 작품을 읽은 것이 계기가 되어 그의 최고 걸작 오페라 <트리스탄과 이졸데> 를 작곡하게 되었다고 함

쇼펜하우어는 동양철학에 매우 관심이 많았음. 쇼펜하우어만큼 동양철학을 잘 이해하고 있는 서양 철학자는 없었다고 함. 쇼펜하우어는 힌두교, 불교를 접하고 이들 종교의 중심 교리 속에 전혀 다른 방법이면서 자신과 칸트가 도달한 결론과 같은 것이 있음을 알고 대단히 놀랐다고 함. 과학에 기반을 두고 발전한 서양철학과 종교에 기반을 두고 발전한 동양철학이 같은 결론을 내고 있었으니 그럴만도 하다는 생각이 듦. 물론 그 결론이 뭔지 난 아직 잘 모르겠음...

칸트는 모든 것을 경험 가능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구분하였음. 그리고 경험은 인체의 기관의 기능에 좌우되는 것이며 사람은 어떠한 일이든간에 경험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생각해서 그려낼 수 없다는 결론을 이끌어냈음. 그러므로 경험으로부터 독립되어 존재하는 현실의 본질을 우리가 알아내는 일은 영원히 있을 수 없고 과학도 경험 세계의 바깥에는 손을 내밀수 없다고 하였음. 경험세계의 특징은 시간과 공간, 인과성에 의해 결부되어 있는 물체이며 개념화 할 수 없는 것과 상상할 수 없는 것은 경험세계에 속하지 않는 것이라 하였음.

쇼펜하우어는 칸트의 이 주장이 기본적으로 옳다고 인정하였고 칸트 철학을 완전히 이해한 사람만이 자기 철학을 이해할 수 있을 거라고도 생각했음. 그래서 그는 칸트의 주장을 다시한번 처음부터 증명하거나 하는 일은 하지 않았음. 자신의 이론의 전제조건이 칸트였기 때문임.

쇼펜하우어는 칸트가 세계를 '현상'의 세계와 '물자체'의 세계로 나눈 일은 옳은 것이라고 했음. 사실 이 부분은 어려워서 무슨 소리인지 잘 모르겠는데 내가 볼때는 '물자체'는 세상 그 자체를 의미하고 '현상'의 세계는 인간이 경험할 수 있는, 그리고 '물자체'의 일부이며 매우 주관적인 세계인 것 같음('물자체'의 주관적 인식 버젼?). '물자체'의 세계는 복수일 수 없는데 그것은 복수가 되려면 여러개의 '물자체'의 세계를 구별해야 하기 때문임. 구별은 경험세계의 것이므로 따라서 '물자체'의 세계는 하나이고 결국 모든 것은 하나이며 구별할 수 없다는 결론에 이름. (뭔가 명쾌하게 이해가 안가지만 그냥 넘어가야지)

사람의 몸도 '물자체'라는 구별할 수 없는 절대적인 하나의 존재의 표상인데 우리가 사람들을 저마다 다른 개인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이 현상계 안에서 뿐이며 인간 존재의 궁극의 기틀인 '물자체'의 세계에서는 우리는 모두 한몸이며 구별할 수 없다고 하였음. 때문에 인간에게는 동정심(타인을 자기와 동일시하거나 감정이입하거나 등)을 느끼는 능력이 있으며 이것이 바로 윤리관의 원천이고 칸트가 믿고 있었던 이성은 아니라고 주장했음.

쇼펜하우어에게는 현실세계에 대한 강한 혐오감이 있었으며 따라서 동물의 혐오감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역겨운 것이었음. 거기에는 매일매일 생물이 산채로 잡아먹히는 피비린내나는 현실이 있으며 인간계도 그와 다를바 없다고 생각했음. 폭력과 부정은 여기저기에 만연되어 있고 사람의 인생은 벗어날 수 없는 죽음으로 끝나는 무의미한 비극이며 사람은 살아있는 한 욕망의 노예에 불과하다고 생각했음. 하나의 욕망이 충족되면 곧 또다른 욕망이 생기고 결코 만족하는 일 없이 존재 자체가 괴로움의 원인이라고 하였음. 인간의 존재에 대해 이렇게 비관적이었음에도 온전한 정신으로 있었다는 것은 신기한 일임. 여기서 온전한 이란.. 자살하지 않았다는 의미 정도인듯. 쇼펜하우어는 인간혐오가 심해서 결혼도 하지 않고 평생 개와 함께 살았다고 함. 인간불신으로 인해 이발사가 면도하다가 자기 목을 따버릴까봐 면도도 안했다고도 하고 머리맡에는 항상 장전된 총을 두고 잤다고 함 

아 그리고 쇼펜하우어도 연애해봤다고 함. 10살 연상 유부녀 좋아하다가(아마도 모르고?) 유부녀인걸 알고 포기하고 21세에는 지체높은 집안의 따님과 사귀었다고 함. 

Posted by 휘사마
,

C# coding style guide

C#, .NET 2011. 6. 17. 19:45

'C#, .N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ass library 의 documentation 생성  (0) 2011.06.17
.NET framework 4.0 에서 바뀐 점  (0) 2011.06.17
ReceiveFromAsync(), ReceiveMessageFromAsync() 버그  (0) 2011.06.17
직접 구현한 MinHeap  (0) 2011.06.17
value type에 관한 진실  (0) 2011.06.17
Posted by 휘사마
,

1.

/// 를 치면 VS 가 알아서 xml comment 를 삽입해준다.


http://msdn.microsoft.com/en-us/library/b2s063f7.aspx


에 관련된 내용이 나와있다.


링크를 타서 가보면  http://msdn.microsoft.com/en-us/library/5ast78ax.aspx 가 보인다.



2.

프로젝트 속성에서 xml document 파일을 생성하도록 설정하자.




VS 2010 기준으로 위와 같이 생겼다.


자 이제 빌드를 하면 저 경로에 xml document 파일이 생긴다.



3.xml 파일을 유용한 다른 것 ( html, chm 등 ) 으로 변환하기.


freeware가 많이 있는데 나는 Sandcastle 을 택했다.


http://shfb.codeplex.com/


요기서 다운로드 받고 설치하면 된다.


우리가 사용할 것은 SHFB(Sandcastle Help File Builder) 인데, GUI를 제공한다.


적당히 알아서 다 깔았으면 


C:\Program Files\EWSoftware\Sandcastle Help File Builder


대충 이런 경로를 찾아가서 SHFB 를 실행한다.


그다음 SHFB 에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들어주고


우측에 Project Explorer 에서 Documentation Sources 를 우클릭해서 xml 파일을 추가해주면 알아서 필요한 파일(dll 등)을 추가해준다.


자 이제 Project Properties 탭으로 가보자.


Help File을 에 타이틀 등을 적절히 설정하고


Paths 에서 경로 설정을 하고


Visibility 에서 어떤 메소드가 노출될것인지 설정하자.


이제 위에 Build 버튼을 누르면 빌드가 시작된다. 시간이 좀 걸린다.


결과물로 chm ( compiled html ) 파일을 얻을 수 있다.




참고로 VS에 add-in 으로 붙여서 쓸 수 있는 것도 있다.


http://www.helixoft.com/vsdocman/overview.html


근데 얘는 상용SW다.

'C#, .N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coding style guide  (0) 2011.06.17
.NET framework 4.0 에서 바뀐 점  (0) 2011.06.17
ReceiveFromAsync(), ReceiveMessageFromAsync() 버그  (0) 2011.06.17
직접 구현한 MinHeap  (0) 2011.06.17
value type에 관한 진실  (0) 2011.06.17
Posted by 휘사마
,